<

지하철 작업자 사망 사고, 또다시 발생: 서울교통공사의 안전 문제

지하철 작업자 사망 사고, 또다시 발생: 서울교통공사의 안전 문제
지하철 작업자 사망 사고, 또다시 발생: 서울교통공사의 안전 문제

지하철 작업자 사망 사고, 또다시 발생: 서울교통공사의 안전 문제

서울교통공사와 소방당국에 따르면 9일 오전 1시 40분, 서울 3호선 연신내역 지하 1층 전기실에서 감전 사고로 인해 공사 직원 A(53)씨가 사망했다.

A씨는 후배 직원 2명과 함께 현장에 나가 전기실 내 진공차단기(VCB) 패널 단전 작업을 수행 중이었다.

그의 작업은 고압 케이블에 표시 스티커를 부착하는 일이었다.

지하철 운행 특성상, A씨는 평소에도 운행이 모두 끝난 뒤 심야에 본격적인 업무를 수행해 왔다고 한다.

현장에 함께 있던 동료들은 사고가 나자 119 구급대에 신고한 뒤 A씨를 구조하기 위해 심폐소생술(CPR)을 시도했다.

A씨는 출동한 119구급대에 의해 인근 병원으로 이송됐으나, 이날 오전 2시 40분에 숨을 거두었다.

29년차 베테랑, A씨의 안타까운 이별

A씨는 1995년 서울교통공사에 입사하여 전기설비 업무를 맡아 온 29년차 베테랑이었다.

사고 소식을 듣고 서울 강북구의 빈소를 찾은 동료들은 A씨에 대해 “성실하고 업무에 충실한 동료”라고 입을 모았다.

동료 B씨는 “고등학교 때부터 전기 분야를 전공해 온 베테랑”이라며 “사고 전날 저녁에도 카카오톡으로 안부 인사를 나눴는데 이런 사고가 나서 믿기지 않는다”고 말했다.

B씨는 이어 “입사 30주년을 앞두고 작년 12월 동료들과 함께 여행을 갔다올 정도로 30년간 희노애락을 함께 한 좋은 친구를 잃었다”며 눈시울을 붉혔다.

A씨는 가정에서도 초등학생인 늦둥이를 포함해 세 자녀를 둔 가정에 충실한 가장이었다.

A씨의 아내는 빈소를 찾은 남편의 동료들에게 “(사고 당일) 출근하는데 얼굴도 못 보고 잘 다녀오라는 인사도 못했다”며 오열했다.

사고 원인 규명과 책임자 처벌

서울교통공사는 현장사고수습대책본부를 구성했고, 국토교통부도 초기대응팀을 급파해 정확한 사건 원인을 규명하고 있다.

서울 은평경찰서에서도 정확한 사건 경위를 조사하는 한편, 고용노동부와 함께 책임자 등에 대한 중대재해처벌법 적용 여부를 검토 중이다.

오는 10일에는 A씨의 정확한 사망 원인을 확인하기 위한 부검도 실시할 예정이다.

이번 사고는 평소와 달리 케이블 단전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 작업이 이뤄지며 발생한 것으로 알려졌다.

따라서, 케이블 단전 상태에서 작업이 이루어진 이유를 밝히는 것이 이번 사고 원인 규명의 핵심이다.

아울러 교통공사 측은 현장에 함께 있던 동료 직원들에 대한 트라우마 치료 지원도 검토 중이다.

지하철 작업자 사망 사고의 반복

지하철 작업자 사망사고는 과거부터 끊이지 않고 있다.

2021년 9월에는 20대 작업자가 공덕역에서 환풍구 관련 작업 도중 9m 아래로 추락해 숨졌다.

2017년 12월에는 온수역에서 배수로 칸막이 작업을 하던 30대 남성이, 같은 해 6월에는 1호선 노량진역 선로보수 작업 중이던 50대 남성이 각각 열차에 치여 사망했다.

2016년 5월에는 김모(19)군이 2호선 구의역 스크린도어 보수작업 중 열차에 치여 숨지는 사건도 있었다.

서울교통공사의 안전 문제

서울교통공사가 지난 4월 발간한 ‘2023 안전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5년(2019~2023년)간 철도안전 관련 직원(자회사·하청업체 직원 포함) 사상사고는 총 11건 발생했다.

같은 기간 지하철에 탑승하거나 지하철역을 이용한 이들 안전사고는 2019년 1건이었다.

서울메트로 노조는 지난달 28일 구의역 사고 8주기 추모행사에서 “지하철 안전설비는 늘어나고 있는데 구조조정으로 인해 안전 인력은 줄어들고 있다”고 지적했다.

정진우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수는 “산업안전을 위해서는 사고 예방에 초점을 맞춰 안전 기준과 수칙을 정교하게 다듬고, 이에 대한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작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한 “중대재해처벌법 등으로 사후 처벌에만 초점이 맞춰지면서 안전 관련 예산은 늘어났을지라도, 실제 현장에서는 안전사고 예방이 소홀해지는 부작용이 발생하며 안전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결론

지하철 작업자 사망 사고는 우리 사회가 해결해야 할 중요한 문제다.

안전 기준을 강화하고, 실효성 있는 예방 조치를 통해 더 이상의 비극이 반복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정부, 기업, 노동자 모두가 함께 노력해야 할 것이다.

*다른 흥미로운 포스팅이 궁금하시면 여기를 클릭해 주세요^^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이 사이트는 스팸을 줄이는 아키스밋을 사용합니다. 댓글이 어떻게 처리되는지 알아보십시오.